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IT

8. 가상화

오늘은 IT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가상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처음 가상화란 말을 듣고 '실제 존재하지 않고 상상 혹은 생각 속에 있는 어떠한 것'을 가상화라고 생각했는데요. 사전적인 뜻 또한 '허상의', '실체가 없는'이라는 뜻이  IT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상화(Virtual)란 그런 뜻이 아닙니다.
'실제로', '실질적인', '사실상의'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생각 속의 실체가 없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서버 및 스토리지와는 다른 물리적 형태를 띄고 있지만 기능은 똑같은 기술이지요.

가상화 종류에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파티셔닝(Partitioning)
 하나의 시스템을 마치 여러 개의 독립된 구조처럼 분할하는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물리적으로 1대의 서버이지만, 10개의 독립적인 서버가 존재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죠. 이렇게 된다면 1대의 물리적인 서버를 굉장히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겠죠.

2.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
 여러 개의 물리 자원을 하나의 가상 자원으로 모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여러 개의 스토리지를 하나의 큰 스토리지로 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운용 관리가 굉장히  효율적이겠죠.

3. 에뮬레이션(Emulation)
 어떤 물리 자원을 다른 자원으로 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어떤 PC가 다른 PC용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기법을 통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가상화라고 하면 대부분 파티셔닝을 생각하지만, 물리적인 형태는 상관없이 필요한 기능이 구현된다면 다 가상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여기서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 서버 가상화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서버 가상화는 하나의 하드웨어 안에 구성된 프로세서나 메모리, 스토리지 용량을 작게 분할하여 마치 여러 대의 하드웨어가 구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입니다. 

가상 서버는 실제로 물리적인 서버와 똑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마다 독립된 운영체제(OS)를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사용자는 마치 전용 서버를 사용하는 듯한 편리함을 느낄 수 있고 여러 대의 하드웨어를 구입하고 설치하지 않아도 되니 사용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죠.

오늘은 이렇게 가상화 기술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부족한 내용이나 보충 내용이 보이신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정보통신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서버리스(Serverless)와 FaaS(Function as a Service)  (0) 2022.10.13
9. 블록체인  (0) 2022.10.13
7. 웨어러블 기기의 특징  (0) 2022.10.12
6. 인공지능(A.I) & 로봇(Robot)  (0) 2022.10.12
5. XP(eXtreme Programming) 기법  (0)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