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IT

4. 스크럼(Scrum) 기법

오늘은 스크럼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럭비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럭비에서 반칙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경우 양 팀의 선수들이 럭비공을 가운데에 두고 차지하기 위해 서로 대치해 있는 대형을 뜻합니다. 이처럼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스크럼은 팀이 중심이 되어 개발 효율성을 끌어올린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스크럼 팀은 스크럼 마스터, 개발팀, 제품 책임자로 구성됩니다.

4-1. 스크럼 마스터, 개발팀, 제품 책임자
● 스크럼 마스터(SM: Scrum Master)
- 팀이 스크럼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입장에서 조언을 해주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팀원들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다.
- 매일 스크럼 회의를 주관하여 개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공론화하여 처리한다.

●개발팀(DT: Development Team)
- 스크럼 마스터와 제품 책임자를 제외한 모든 팀원을 말하며, 개발자 외에도 테스터, 디자이너 등 제품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될 수 있다.
- 보통 최대 인원은 7~8명이 적당하다.

● 제품 책임자(PO: Product Owner)
- 이해관계자 중 개발된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요구사항을 책임지고 의사 결정할 사람으로 선정된다. 주로 개발 의뢰자 혹은 사용자가 담당이다.
- 모든 의견을 종합하여 제품에 대한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주체다.
- 요구사항이 담긴 백로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팀원들은 백로그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없다.
- 제품 테스트를 계속해서 거치면서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를 갱신한다.

4-2. 스크럼 개발 프로세스
●제품 백로그
- 제품 개발에 필요한 모든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한 목록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새롭게 도출되는 요구사항을 지속해서 업데이트한다.
- 제품 백로그에 작성된 사용자 스토리를 기반으로 전체 일정 계획인 릴리즈 계획을 수립한다.
● 스프린트 계획 회의
- 제품 백로그 중 이번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과업을 대상으로 단기 일정을 수립
- 스프린트에서 작업할 요구사항을 개발자들이 작업할 수 있도록 테스크라는 작업 단위로 나누고, 개별자별로 수행할 작업 목록인 스프린트 백로그를 작성한다.
● 스프린트
-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으로, 보통 2~4주 정도의 기간 내에서 진행된다.
- 개발자들이 작업할 수 있도록 나눈 테스크를 대상으로 작업 시간을 추정한 후 개발 담당자에게 할당한다.
- 테스크를 할당할 때는 개발자가 원하는 테스크를 직접 선별하여 담당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것이 좋다.
- 개발 담당자에게 할당된 테스크는 보통 할 일, 진행 중, 완료의 상태를 나타낸다.
● 일일 스크럼 회의
- 모든 팀원이 매일 지정된 시간에 약 15~20분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각자의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점검한다.
- 회의는 보통 서서 진행하며, 남은 작업 시간은 소멸 차트에 표시한다.
- 스크럼 마스터는 발견된 장애 요소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프린트 검토 회의
- 부분 혹은 전체 완성 제품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잘 부합하는지 사용자가 포함된 참석자 앞에서 테스팅을 수행한다.
- 스프린트의 한 주에 1시간 내에서 진행한다.
- 제품 책임자는 개선할 사항에 대한 피드백을 정리한 후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품 백로그를 업데이트한다.
● 스프린트 회고
- 스프린트 주기를 돌아보며 정해놓은 규칙은 잘 준수했는지, 개선할 점을 찾아 확인하고 기록한다.
- 해당 스프린트가 끝난 시점에서 수행하거나 일정 주기로 수행한다.

+추가 용어 해설
1. 이해관계자
: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개발 의뢰자, 개발자, 사용자로 구분할 수 있다.
2. 스토리
: 백로그에 포함될 요구사항은 단순하게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한다'와 같이 이야기를 서술하는 형태로 표현한다. 따라서 요구사항을 스토리 또는 사용자 스토리라고 하는 것이죠.
3. 소멸차트
: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작업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남은 작업 시간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


'정보통신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인공지능(A.I) & 로봇(Robot)  (0) 2022.10.12
5. XP(eXtreme Programming) 기법  (0) 2022.10.09
3.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0) 2022.10.08
2. 컴파일과 빌드의 차이점  (1) 2022.10.08
1. C 언어의 장점  (0)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