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
11.자율주행기술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며 고도의 과학기술로 인해 점점 로봇이 인간을 대체해간다. 미래에는 길을 몰라도, 길치더라도 걱정할 일이 없을거다. 왜냐하면 바로 오늘의 주제 자율주행기술이 있기 때문!!! 초행길 이더라도 네비게이션을 잘 못봐도 알아서 실시간으로 최단경로를 파악해서 목적지까지 데려다 주는 기술이니까! 그럼 자율주행기술이란 뭘까? 자율주행기술은 운전자가 스스로 조작하지 않아도 감지센서, 카메라, 레이다시스템, GPS 등 첨단기술을 통해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위험을 판단해서 주행하는 기술이다. 현재 자율주행기술은 5단계(Level)로 분류하고있다. LEVEL 2까지는 운전자를 보조하는 보조 기술이다. 자동차의 방향 전환과 감가속하는 정도의 능력이다. LEVEL 3은 현재 2022년 많은 자동차들이..
1. 공기업 통신전공 자료 이 글에서 전공(통신) 자료들은 제가 필기를 굉장히 간결하게 적었어요. 네트워크, 광통신 등등 구분하지 않고 그냥 필기해둔 거라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직렬 전송 - 하나의 통신회선에 1비트 순차적 전송 - 송·수신간 동기가 필요하다. - 속도가 느리고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다 - 현재 대부분의 전송 시스템에 활용 - 직·병렬 변환기가 필요하다 -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나뉜다 1-1. 동기식과 비동기식 ● 동기식 - 성능이 좋고 대역이 좁으며 항상 동기 유지 - 휴지 기간이 필요 없다, 수신 측 단말기에 버퍼가 있다 - 블록 단위, 복잡하다(데이터와 클록 신호를 위해 2회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 오버헤드가 적다 - 스루풋이 크다 - PSK + QAM 사용 - 데이터 묶음 앞..
공지사항 안녕하세요. 세상모든이야기 입니다. 먼저 이 카테고리는 제가 2020~2021년까지 공기업 정보통신(전공)을 공부하면서 필기했던 자료입니다. 그렇기에 엄청나게 세부적으로 설명은 되어있지 않아요. 또한 여기 자료 중에 실제 제가 응시했던 부산교통공사, 시설공단,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의 전공 분야에서 나왔던 자료들도 있습니다. 제가 공부하고 필기했던 자료가 누군가에게는 뜻깊은 자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여라도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통신이라는 분야 특성상 굉장히 광범위한 특징이 있기에 분야별로 설명이 모여져 있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감사합니다.
10. 서버리스(Serverless)와 FaaS(Function as a Service) 오늘은 서버리스(Serverless)와 FaaS(Function as a Servic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버리스란 무엇이냐? 쉽게 생각했을 때 '서버가 없다?', '서버가 필요하지 않다?'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그러한 뜻이 아니라 서버리스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서버 관리와 셋업에 상관없이 개발할 수 있다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와 같은 인프라는 클라우드를 통해 관리하고, 개발자는 데이터베이스(DB), 메시징, 인증 등 개발에 필요한 서비스만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전념할 수 있는 것이죠. FaaS(Function as a Service)가 이러한 장치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FaaS는 오픈소스인 OpenWhisk, AWS의 Lambda, Google의 Cl..
9. 블록체인 안녕하세요. 세상 모든 이야기 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Block Chain)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블록체인이란? : 거래 이력을 여러 블록이라는 공간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거래 이력을 수많은 컴퓨터에 분산 관리하는 기술로 특정 기관의 증명 없이도 거래의 정당성을 증명할 수 있고 해킹 및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거래 장부 기능]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거래 참여자들에게 거래를 통지하여 누구나 거래 내용을 알 수 있다. 2. 거래 기록이 추가되면 참가하는 모든 참여자에게 새로운 블록체인을 공유한다. [해킹 및 보안 기능] 1. 장부를 변조하려고 해도 거래 참여자들에게 분산 및 공유하고 있는 엄청난 양의 블록체인 중 특정 블록을 동시에 변조해..
8. 가상화 오늘은 IT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가상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처음 가상화란 말을 듣고 '실제 존재하지 않고 상상 혹은 생각 속에 있는 어떠한 것'을 가상화라고 생각했는데요. 사전적인 뜻 또한 '허상의', '실체가 없는'이라는 뜻이 IT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상화(Virtual)란 그런 뜻이 아닙니다. '실제로', '실질적인', '사실상의'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생각 속의 실체가 없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서버 및 스토리지와는 다른 물리적 형태를 띄고 있지만 기능은 똑같은 기술이지요. 가상화 종류에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파티셔닝(Partitioning) 하나의 시스템을 마치 여러 개의 독립된 구조처럼 분할하는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물리적으로 1대의 서버..
7. 웨어러블 기기의 특징 오늘은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대표적으로 삼성의 버즈, 갤럭시 워치 시리즈와 애플의 에어팟, 애플워치 시리즈는 누구나 다 알고 이용을 많이 하는 제품(웨어러블)이죠. 옛날에는 전자수첩 혹은 PDA와 같은 제품들도 있었지만, 지금과 비교했을 때 성능 면에서나 연결성에서는 사용자의 욕구에 충족하지 못하는 제품이 많았습니다. 자, 그럼 언제부터 모바일 기기들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을까요? 그건 혁신의 아이콘이죠. 바로 Apple의 iPhone이 주인공입니다. 2007년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소개했었죠. 이전까지 휴대전화는 휴대용으로 들고 다니면서 문자 및 전화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개념이었지만, iPhone은 인터넷과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제품을 ..
6. 인공지능(A.I) & 로봇(Robot) 오늘은 인공지능과 로봇 관련 지식과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인공지능이란 무엇일까요? 인공지능이란 다양한 뜻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지식과 지적인 작업을 소프트웨어(SW)로 실현하는 기술이나 연구'를 뜻합니다. 예를 들면 이미지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화상 인식, 음성⇔글을 바꾸는 음성 인식,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서 숨겨진 규칙이나 관계를 찾아내는 기계학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통해 똑똑한 로봇이 등장했습니다. 이전까지의 로봇은 인간이 만든 프로그램에 의해서 단순한 행동이나 원격으로 조작만 하던 기계였습니다. 그러나 지금 로봇은 앞서 설명한 인공지능을 탑재함으로써 로봇 스스로 주위 상황을 인식하고 해석하여 다음 행동을 판단하여 행동하는 기계로 변모했습니..